정부 행정정보시스템 복구율 45.7%…11월 말까지 복구 완료 목표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복구율 45.7%…11월 말까지 복구 완료 목표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화재 이후 진행 중인 행정정보시스템 복구 상황을 발표하며, 복구율이 45.7%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글에서는 복구 현황, 등급별 우선순위, 향후 일정, 복구 전략과 과제 등을 종합적으로 다룬다.
1.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사고 개요
2025년 10월 초,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는 정부 전산망의 핵심인 행정정보시스템에 큰 피해를 입혔다. 이 화재로 인해 총 709개 시스템이 중단되었으며,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보훈서비스, 법령정보, 원격근무, 인증 서비스 등 다수의 중요 시스템이 영향을 받았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긴급히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를 구성하고, 단계적인 복구 작업에 착수하였다.
핵심 요점
대규모 화재로 인해 정부의 디지털 업무 기반이 심각한 타격을 입었으며, 빠른 복구와 정보보안, 국민불편 최소화가 최우선 과제로 부상했다.
발생일 | 2025년 10월 초 |
피해 시스템 수 | 709개 |
중단 영향 | 공공서비스, 행정업무 전반 |
2. 복구 현황과 복구율 45.7%
10월 16일 기준으로 전체 709개 시스템 중 324개가 복구되어 복구율은 45.7%로 집계되었다. 이 중에서 1등급 시스템은 77.5%(31개), 2등급 시스템은 55.9%(38개)가 복구 완료되었으며, 3~4등급 시스템도 점진적으로 복구되고 있다. 복구된 시스템 중에는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정부원격근무서비스 등 주요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다.
핵심 요점
중요도 높은 시스템 복구에 우선 순위를 두었으며, 정부 서비스 재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복구율 | 45.7% |
복구 시스템 수 | 324개 |
1등급 복구 | 31개 (77.5%) |
2등급 복구 | 38개 (55.9%) |
3. 등급별 복구 우선순위
정부는 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국민 일상과 직접 관련 있는 1·2등급 시스템을 우선 복구 대상으로 삼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인증, 보훈, 민원 서비스 등 핵심 시스템이고, 2등급은 공무원 업무처리 등 행정망 기반 시스템이다.
- 1등급: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보훈서비스 등
- 2등급: 정부원격근무서비스, 전자문서 유통시스템 등
- 3~4등급: 법제교육, 통계관리, 일반 행정업무 등
핵심 요점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복구 우선순위 설정이 핵심이며, 등급에 따라 단계적 복구가 이뤄지고 있다.
등급 | 복구 내용 |
1등급 | 핵심 국민서비스 (보훈, 인증) |
2등급 | 공무원 행정업무 |
3~4등급 | 보조적 행정기능 |
4. 복구 일정과 향후 계획
정부는 1·2등급 포함 총 289개 시스템을 10월 말까지, 나머지 76개 시스템을 11월 20일까지 복구하겠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일부 시스템은 대구센터로 이전 중이며, 신규 장비 도입 및 고온 화재에 따른 건물 구조진단도 병행되고 있다.
- 10월 말: 1·2등급 시스템 복구 완료 목표
- 11월 20일: 나머지 시스템 복구 완료 목표
- 복구 과정에서 사전 트래픽 분산 조치
- 건물 안전 점검 및 보안강화 병행
핵심 요점
단계별 복구 계획을 통해 시스템 안정성과 국민 신뢰 회복을 동시에 꾀하고 있다.
일정 | 복구 목표 |
10월 말 | 1·2등급 289개 시스템 복구 |
11월 20일 | 기타 76개 시스템 복구 |
5. 복구 원칙: 안전 · 보안 · 신뢰
복구의 3대 원칙으로 정부는 '안전', '보안', '신뢰'를 제시하였다. 우선, 복구 작업에 투입된 인력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사이버 위협에 대비한 기술·물리적 보안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복구 진행 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하여 국민 신뢰 확보에도 나서고 있다.
핵심 요점
기술적 복구뿐 아니라 시스템 신뢰 회복과 투명한 소통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원칙 | 내용 |
안전 | 현장 인력 안전 확보 |
보안 | 사이버 위협 대응 및 장비 안정성 확보 |
신뢰 | 국민 대상 복구 정보 공유 |
6. 남은 과제와 시사점
복구율은 절반을 넘어섰지만, 전체 시스템의 완전한 복원까지는 여전히 과제가 많다. 특히 서비스 재개 시 과부하 대응, 중복 백업 체계 강화, DR(재해 복구) 시스템 재정비 등이 요구된다. 이와 함께,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전자정부 시스템 전반의 구조적 안정성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핵심 요점
단순 복구에 그치지 않고, 중장기적으로 정보시스템 안전체계 전반을 개편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과제 | 대응 방향 |
접속 폭주 대비 | 트래픽 분산 및 모니터링 강화 |
DR 체계 미비 | 이중 백업 시스템 구축 필요 |
정보보안 강화 | 모의 해킹, 보안 인증 재점검 |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